안전

제원표 검토법(제원표 보는 방법)

galaxyan 2024. 10. 13. 12:00
728x90
반응형
SMALL

제원표 검토법(제원표 보는 방법)

 

 

 

 

 

위에 보이는 표는 

LTM110의 제원표중 일부분입니다.

1번 항목(빨간색으로 테두리 된 부분)은 크레인에

Weight를 얼마나 장착했는가입니다.

크레인 톤수가 클수록 이 Weight의 무게가 더 무겁습니다.(안찰수도 있습니다.)

이 무게가 무거울 수록(웨이트를 더 많이 장착 할 수록) 같은 반경에서 더 많은 무게를 들 수 있습니다.

적게 장착 할 수록 크레인의 움직임이 원활합니다.(이동시 움직임이 원활하다는 뜻입니다.)

200Ton Crane의 경우 Weight가 아예 없을경우(없어도 기본Weight는 크레인에 존재합니다.) 100Ton의 성능과

비슷한 성능을 냅니다.

100Ton의 경우 모든 Weight가 Crane에 장착되어 있으며 자체적으로 Weight를 장착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시는 것이 이해가 더 빠르실텐데 100ton Crane을 기준으로 삼은 이유는

대부분의 경우 100Ton 이하의 크레인들은 Weight가 없습니다.(존재하기는 하나 Weight장착 과정이 없습니다.)

65톤/50톤 등등의 경우엔 Weight장착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됩니다.

100톤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동급크레인들은 웨이트가 차체 내에 존재하며 크레인 몸체 부분이 돌아서 장착이 됩니다.



 

 

 

앞쪽에 Weight를 기본적으로 싣고 다니다가 몸체가 회전하여 뒤쪽에 Weight를 장착합니다.

상기 사진의 경우 기본 Weight만 장착된 경우입니다.

200톤 이상의 경우 자체적으로 Weight를 싣고 다니지 못하며 뒤에 다른 차량에 싣고와서 크레인으로 장착합니다.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이 것까지만 설명하고 다음으로 넘어가죠

 

2번항목은 작업반경입니다.

크레인 센터에서 얼마까지 들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작업반경이 늘어날 수록 들 수 있는 무게는 작아집니다.

이유는 붐이 견딜수 있는 한계와 크레인이 지탱 할 수 있는 무게가 줄어들기 때문이죠

이것은 크레인에서 작업해야 할 곳의 거리가 얼마인가를 보고 대입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3번항목은 붐길이 입니다.

​이것은 작업 높이와 관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크레인 붐각도와도 문제가 됩니다.

높이가 높을 수록 붐을 더 많이 뽑아야합니다.

2번항목과 3번 항목은 상관관계가 큽니다.

작업반경은 되는데 붐이 안되는경우도 존재하며

붐길이는 되나 작업반경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들 수없다는 말입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들어야할 물체(인양물)의 무게가 약 25톤입니다.

작업반경은 약 26미터입니다.

높이는 약 15미터입니다.

이 경우 제원을 검토하면

26미터에서 붐길이와 상관없이 가장 많이 들 수 있는 무게는

약 5.8톤입니다. 이크레인으론 불가능합니다.

작업반경을 줄이든지 더 크레인을 써야합니다.

 

제원표에서 5.8톤이지만 여기에 추가로 계산해줘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Hook의 무게를 계산해야하고(이것은 제원표에 나옵니다.) 약 1톤 정도에서 0.5톤 정도입니다.

기타 샤클 와이어 무게를 계산해야합니다.

리프팅 디바이스를 쓸 경우 이것의 무게까지 더해야합니다.

 

 

 

 

 

 

중량물 취급 안전율 검토

http://www.safeinfo.co.kr/crain.html

 

SAFEINFO 안전정보포털

작성 팁 ① 인양물의 최대 하중 기입 ② 천장크레인의 경우 크레인에 표기된 인양 능력 기재 ③ 이동식 크레인의 경우 제원표 확인(counter weight, 붐의 길이, 붐의 높이) ④ 제원표상 인양능력이 적

www.safeinfo.co.kr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