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골재의 입도에 따른 분류기호입니다.
아스콘의 종류는 크게 나누어 다음과 같습니다.
#78, #67, #57, #467, #367
#78규격의 골재 최대크기는 13㎜이며, #67->20㎜, #57->25㎜,
#467->40㎜, #367->50㎜ 입니다.
#467(기층용), #78(표층용)을 많이 사용합니다
기층용은 보통 "#467"(THK.100mm), 표층용은 "#78"(THK.50mm)을 쓴다는 것 정도가 상식인데,
이거는 골재의 입도에 따른 "골재 번호"입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표 참조.
ㆍ품질기준 및 관련 시험 표준(입도부분) | |||||||||||
골재번호 | 체의 크기(주3) 규격 | 각 체를 통과하는 무게 백분율(%) | |||||||||
입도범위mm | 65 | 50 | 40 | 25 | 20 | 13 | 10 | 5 | 2.5 | 1.2 | |
3 | 50~25 | 100 | 90~100 | 35~70 | 0~15 | - | 0~5 | - | - | - | - |
357 | 50~5 | 100 | 95~100 | - | 35~70 | - | 10~30 | - | 0~5 | - | - |
4 | 40~20 | - | 100 | 90~100 | 20~55 | 0~15 | - | 0~5 | - | - | - |
467 | 40~5 | - | 100 | 95~100 | - | 35~70 | - | 10~30 | 0~5 | - | - |
5 | 25~13 | - | - | 100 | 90~100 | 20~55 | 0~10 | 0~5 | - | - | - |
57 | 25~5 | - | - | 100 | 95~100 | - | 25~60 | - | 0~10 | 0~5 | - |
6 | 20~10 | - | - | - | 100 | 90~100 | 20~55 | 0~15 | 0~5 | - | - |
67 | 20~5 | - | - | - | 100 | 90~100 | - | 20~55 | 0~10 | 0~5 | - |
68 | 20~2.5 | - | - | - | 100 | 90~100 | - | 30~65 | 5~25 | 0~10 | 0~5 |
7 | 13~5 | - | - | - | - | 100 | 90~100 | 40~70 | 0~15 | 0~5 | - |
78 | 13~2.5 | - | - | - | - | 100 | 90~100 | 40~75 | 5~25 | 0~10 | 0~5 |
8 | 10~2.5 | - | - | - | - | - | 100 | 85~100 | 10~30 | 0~10 | 0~5 |
주(3) 여기에서 체는 KS A 5101-1에서 규정하는 표준망체 63㎜, 53㎜, 37.5㎜, 26.5㎜, 19㎜, 13.2㎜, 9.5㎜, 4.75㎜, 2.36㎜ 및 1.18㎜에 해당한다. |
728x90
반응형
LIST
'공종별 분류 > └ 포장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콘 규격 (#467, #78) (0) | 2024.03.21 |
---|---|
아스콘 규격 (0) | 2024.03.21 |
아스콘 골재 입도에 따른 분류 기호 (0) | 2024.03.21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2021.07) (2) | 2024.01.28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두께별 포설두께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2)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