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위험성평가란?
-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위험성평가 실시주체는
-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주체가 되어①안전보건관리책임자 ②관리감독자 ③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 또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 ④대상공정의 작업자가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실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위험성평가 절차?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 ♦ 사전준비 :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을 작성하고, 위험성의 수준과 그 수준의 판단기준을 정하고, 위험성평가에 필요한 각종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입니다.
- ♦ 유해·위험요인 파악 : 사업장 순회점검, 근로자들의 상시적인 제안 제도, 평상시 아차사고 발굴 등을 통해 사업장 내의 유해·위험요인을 빠짐없이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 ♦ 위험성 결정 : 사전준비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위험성의 판단 기준과 사업장에서 허용 가능한 위험성의 크기 등을 활용하여,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를 추정·판단하고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 위험성을 결정한 결과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수준이 사업장에서 허용 가능한 수준을 넘는다면, 합리적으로 실천 가능한 범위에서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을 가능한 낮은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 ♦ 위험성평가 결과의 기록 및 공유 : 파악한 유해·위험요인과 각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의 수준, 그 위험성의 수준을 결정한 방법, 그에 따른 조치사항 등을 기록하고, 근로자들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며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등을 통해 근로자들에게 위험성평가 실시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입니다.
관련 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19호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사업장_위험성평가에_관한_지침_일부개정고시 전문.hwpx
0.06MB
728x90
반응형
LIST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동절기 건설현장 핵심안전수칙 (0) | 2024.12.25 |
---|---|
안전관리 교육자료 참조사이트 (0) | 2024.12.24 |
건설업 안전관리자 서류 정리 (1) | 2024.12.21 |
건설공사발주자의 산업안전보건 업무 가이드북 (0) | 2024.12.08 |
안전한 보호구 착용 길잡이 안내 (0) | 202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