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7/13 6

터널 공사에 사용하는 쉴드 TBM 장비와 세그먼트

터널 공사에 사용하는 쉴드 TBM 장비와 세그먼트 https://youtu.be/DkJR2KFQlmA 터널 시공시 사용되는 쉴드 TBM 공법은 원통형 전단면 굴착기로 막장압과 강재로 된 원통형 쉴드로 막장면의 안정을 유지하고 굴착해 주로 도심지와 같이 비교적 저심도의 연약지반에 적용된다. 연약지반에 쉴드를 통해 막장면 붕괴와 지표침하를 억제할 수 있고, 발파를 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터널 #TBM #쉴드TBM 출처 : EBS 컬렉션 - 사이언스

바다에 다리를 어떻게 세웠을까? 인천대교 건설 현장

바다에 다리를 어떻게 세웠을까? 인천대교 건설 현장 https://youtu.be/96KFfwFIJHk 인천대교는 2005년에 착공해 2009년에 완공된 인천 송도 국제도시와 영종도를 잇는 다리이다. 교량 길이18.38km, 6차로 고속도로인 인천대교는 사장교, 접속교, 고가교 등 다양한 형식의 특수교량으로 구성되어있다. 사장교와 주교각 사이의 거리는 800m로 준공시점 기준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길다. #인천대교 #사장교 #현수교 ▶️ 프로그램 : 원더풀 사이언스- 바다를 달리는 첨단공학, 인천대교▶️ 방 송 일 : 2013.8.27 출처 : EBS 컬렉션 - 사이언스

[목포대교] 물살이 센 바다에 어떻게 다리를 건설했을까?

물살이 센 바다에 어떻게 다리를 건설했을까? https://youtu.be/0ZG8KAG_60Q 목포대교는 목포신외항과 서해안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목포의 관문으로 2012년에 개통된 다리이다. 목포대교는 사장교 형식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 한국에선 최초로 시도된 3Way 케이블 공법이라는 고난이도 공법을 사용했다. 3Way 케이블 공법은 좌우측의 케이블을 한 쌍으로 줄이고 이를 중앙에 배치해 사장교 좌우측의 경관을 살릴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우리나라에서 제주도와 울릉도 다음으로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부는 지역은 목포이다. 거센 바람과 물살을 헤치고 다리를 건설했던 2011년의 현장으로 돌아가본다. #목포대교 #사장교 #케이블*방송일자 : 2011.11.22 / 프로그램 : 원더풀사이언스-바람..

고속터미널역 / 환승역 지하철 공법 TRcm공법과 CAM공법 소개

환승역 지하철 공사는 어떻게 했을까?| 고속터미널역| 강관 만드는 공장https://youtu.be/FbC1DQZizHY 3호선 ・7호선・ 9호선이 만나는 서울 고속터미널역. 3개의 노선이 지나가는 곳에 TRcm공법과 CAM공법이 적용되었다. 2가지 공법 모두 강관을 이용해 지반을 강화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TRcM(Tubular Roof construction Method) : 강관을 활용해서 상부구조물을 만든 후, 아래에 콘크리트 벽체를 만들어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공법 CAM(Cellular Arch Method) : 대형 강관을 아치 형태로 압입해 안정된 지하 구조물을 축조하는 공법 출처 : EBS 컬렉션 - 사이언스

728x90
반응형
LIST